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풀이
오늘은 내가 기억하는 천구 관련 레전드 문제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풀이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현재 지구과학에서 천구와 관련된 문제들은 지구과학2로 넘어갔다.수능으로 지구과학2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한번 풀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물론 서울대를...
블로그를 준비하고 있어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오늘은 내가 기억하는 천구 관련 레전드 문제 2018학년도 수능 지구과학1 20번 문제 풀이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현재 지구과학에서 천구와 관련된 문제들은 지구과학2로 넘어갔다.수능으로 지구과학2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한번 풀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물론 서울대를...
고등학교 때 지구과학을 배우면 망원경의 모든 성능이 구경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배율은 접안 렌즈만 바꾸면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제일 중요한 것은 집광력과 분해능이다.집광력은 망원경이 빛을 받는 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빛을...
대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배운 전달 방정식과 광학적 깊이라는 개념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오랫동안 내용을 곱씹었던 기억이 난다.광학적 깊이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들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대학교 때의 천문학 노트 내용을 바탕으로 이 글을 써 본다.이번 글은 광...
별의 분광형에 대해 학습할 때 아래와 같은 말을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Oh Be A Fine Girl Kiss Me고전적인 별의 분광형 암기법이는 별의 분광형을 온도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별의 스펙트럼을 관찰하고 최초로 수소 발머 흡수선에 세기에...
천문학에서 은하의 회전과 항성 운동을 배우다 보면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것이 나온다. 은하 회전, 그리고 항성 운동은 어차피 물리학에서 모두 나오는 중력과 도플러 효과로 풀어나가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으나, 국부 정지 좌표계라는 개념은 천구를 처음 배울 때 만큼이나 ...
동호회 카톡방에 하늘이 멋있다면서 사진이 하나 올라왔다.이런 하늘을 누구나 본 적 있을 것이다. 예전에 내가 대학교 1학년일 때도 한 선배가 노을이 질 때 하늘의 구름이 가려지는 것을 보며 '틴들현상'이라고 가르쳐 준 적이 있다.그렇다면 틴들현상은 무엇이고, 왜 이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