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준비하고 있어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세가지 궤도를 가정하고 LSR에 대한 속도를 비교해보자.
1) A궤도는 LSR 위치에서 원일점, 은하 중심 근처에서 근일점을 가지는 궤도이다. 이 경우, 완전한 원 궤도를 도는 천체보다 느리게 움직일 것이다.
2) B궤도는 LSR을 지나는 완전한 원 궤도이다. 이것은 LSR의 기준이 되는 속도이다.
3) C궤도는 LSR 위치에서 근일점, 은하 중심 방향에서 원일점을 가지는 궤도이다. 이 경우, 완전한 원 궤도를 도는 천체보다 빠르게 움직일 것이다.
따라서 B 궤도를 도는 천체는 LSR에 대하여 완전히 정지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A궤도를 도는 천체와 B궤도를 도는 천체는 LSR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처럼 나타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예시를 하나 들어보자.
각각의 화살표는 각 궤도를 도는 천체의 속도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LSR 주변에서 두 궤도를 도는 천체는 어떻게 보일까?
이는 벡터의 차와 같다.
두 천체가 LSR에서 보이는 속도는 실제 속도와는 상이하다.
고이심률 궤도의 천체는 실제 속도는 느리지만, LSR과의 속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인다.
저이심률 궤도를 도는 천체는 속도가 실제로는 다른 천체보다 빠르지만, LSR에 대한 속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저속도로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인다.
중요한 것은 LSR에서 보이는 속도는 실제 속도가 아니며, 완전한 원 궤도에 대하여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보여줄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 우리 은하의 운동을 살펴 보면 LSR에 대하여 천체는 3개의 축 방향으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인다.
1) LSR은 태양 위치를 가정하고 완전한 원궤도를 도는 천체의 속도에 대해
2) 다른 천체들이 어떻게 움직는지를 나타낸 것이며
3) LSR을 통한 천체 운동의 관측은 실제 원 운동에 대하여 우리 은하의 회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4) 천체가 탄생한 장소가 어디냐에 따라 LSR 상에서 다른 위치를 보여주게 된다. 각 특성은 암기하는 것이므로 한번 찾아보면 된다.
댓글을 불러오는 중...